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20. 20世 〉48. <태사공>죽포공휘동옥행장(竹圃公諱東鈺行狀)
1. 문헌 목록 〉20. 20世 〉50. <태사공>가은공휘영득비문(稼隱公諱永得碑文)
1. 문헌 목록 > 20. 20世 >  
49.<태사공>가선대부동강공휘덕문묘표(嘉善大夫桐江公諱德文墓表)
嘉善大夫桐江公諱德文墓表 有封若堂於谷之竹谷面眼鶴洞乙坐者曰嘉善大夫桐江處士淳昌趙公諱德文之墓公天性高尙澹泊自昇平府寓居浴川縣竹谷面桐溪里盖厭世之囂而取其擗也採山釣水逍遙自適鄕人稱桐江處士其事父母養志體極誠累年親癠藥湯不掇臨終割服而進食之二廷垂死之命回甦四日及丁憂廬墓三年不食魚肉不近酒色雖闋之後語及父母涕泗沾襟當 正廟禮陟之日如四考妣素衣素食每日兆向四拜盖移孝爲忠之意也其居鄕敦睦族戚不失信於交友之際嘗二孝悌忠信仁義禮智廉恥十字著銘置几案間常目在之以爲家則敎訓子孫子孫多骯髒者是以鄕里頌其賢生於壬午卒於辛卯正月二十七日 朝廷以優老典授右職配貞夫人濟州梁氏琪周女學圃彭孫之后孫也卒而墓與公同郡同面飛鳳里後麓距公墓爲十里程也公之先自出高麗太師諱璵於公爲十七世祖生諱元琦高麗奉翊郞 入本 朝有諱淵佐 太祖位躋判書公之十五世祖也判書生諱膺檢詳舍人舍人生諱得才官習讀習讀生諱長孫高原郡守盖在我 朝子姓繩繩連襲冠冕公之高祖曰通訓大夫諱萬昌曾祖曰工曹參議威泰亨祖曰曹司五衛將諱以孝考曰僉知中樞府事諱濚國妣淑夫人光山金氏世健女並有婦德淑行公有一男一女男曰炳瓚壽階通政女李文妻也孫曰在九在極曾孫曰錫佾錫模玄孫曰昶浩 健元陵參奉參奉懼公之卒幾二百禩人代遷易陵谷不恆始表公之墓其族人承憲以公之狀求表文於余余與承憲交契密而不敢辭謹據其家狀而述其萬一焉 延安 李궞 撰 가선대부동강공휘덕문묘표(嘉善大夫桐江公諱德文墓表) 부당(斧堂)간은 봉분이 곡성의 죽곡면 안학동을좌(谷之竹谷面眼鶴洞乙坐)에 있는 자는 가선대부 동강처사 순창조공 휘덕문(德文)의 가성(佳城)이다 공의 천성이 고상담박하여 승평부(昇平府)로부터 욕천현 죽곡면 동계리(浴川縣竹谷面桐溪里)에 우거한 것은 대개 세상의 잡음을 싫어하여 그 국벽함을 취한 것이다 산에 올라 나물캐고 물에나가 고기 낚으며 거닐며 스스로 편안이하니 고을 사람이 동강처사라 일렀다 그 부모를 섬기며 뜻과 몸을 길러 정성을 다하고 여러해 동안 어버이 병환에 약탕관을 걷어 치우지 않고 임종에 다리 살을 베어 잡수케 하여서 四일간 연명하였으며 초상을 당하여 三년간 시묘하면서 어육(魚肉)을 안먹고 주색을 가까이 아니하며 비록 탈상한 뒤에도 부모 말을 하면 눈물이 옷섭을 적시고 정조(正祖)가 승하하매 일북향 四배하니 이것이 효도를 옮겨 충성하는 뜻이었다 그 고을에 살며 족척간에 돈목하고 교우(校友) 사이에 신의를 지키며 일찍 효제충신(孝悌忠信)과 인의예지 염치(仁義禮智廉恥) 十자로 명(銘)을 만들어 좌상께 걸고 항상 써 가규(家規)를 삼아 자손을 교훈하니 자손이 청백하고 정직하므로 향당이 그 어짊을 칭송하였다 임오(壬午)년에 출생하여 신묘(辛卯)년 정월 二十七일에 별세하니 조정(朝廷)에서 우로은전(優老恩典)으로써 우의관작을 증직하였으며 배 정부인 제주량씨 기주녀(貞夫人濟州梁氏琪周女)는 학포팽손(學圃彭孫)의 후손으로 별세하여 곡성군 죽곡면 비봉리 후록(谷城郡竹谷面飛鳳里後麓)에 장사하니 공의 묘소와 거리가 十리정도였다 공의 선조는 고려태사 휘여(高麗太師諱璵)가 十七대조요 생휘원기(元琦)는 고려 봉익랑(奉翊郞)이며 아조 이조판서 휘연(我朝吏曹判書諱淵)이 공의 十五세조였다 생휘 응(膺)은 검상사인(檢詳舍人)이요 생휘득재(得才)는 습독(習讀)이며 생휘 장손(長孫)은 고원군수(高原郡守)고 그뒤에 자손이 진진(振振)하고 훈작이 련면(勳爵連綿)하였다 고조휘 만창(萬昌)은 통훈대부요 증조휘 태형(泰亨)은 공조 참의며 조휘 이효(以孝)는 조사 五위이고 고휘 영국(濚國)은 첨지중추부사요 비는 숙부인 광산김씨세건녀(淑夫人光山金氏世健女)인데 부덕과 숙행이 있었다 남 병찬(炳瓚)은 수직통정(壽職通政)이요 녀는 이문(李文) 처며 손자는 재구(在九) 재극(在極)이고 증손은 석일(錫佾) 석모(錫模)요 현손 창호(昶浩)는 건원릉참봉(健元陵參奉)이었다 참봉이 인물과 세대가 바뀌고 상해(桑海)의 변을 두려워 하여 공의 묘소에 표석을 세우고 그 족인승헌(族人承憲)이 장문을 보이며 내게 묘표를 부탁하니 내가 승헌으로 더불어 교계(交契)가 친밀하므로 감히 사절치 못하고 삼가 그 가장(家狀)에 의하여 그 萬一을 기술함 연안(延安) 이석(李궞) 찬(撰)
 
1. 문헌 목록 〉20. 20世 〉48. <태사공>죽포공휘동옥행장(竹圃公諱東鈺行狀)
1. 문헌 목록 〉20. 20世 〉50. <태사공>가은공휘영득비문(稼隱公諱永得碑文)